본문 바로가기
↑ Hæłłœøppã 지원 광고 ↑






↓ 카카오를 지원하는 광고 ↓

고용노동부69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화 시행 안내 (고용노동부 임금명세서 작성 프로그램 포함) 안녕하세요? 지난 11월 16일 임금명세서 교부화 관련해서 고용노동부의 개정 근로기준법 설명자료 즉 가이드라인이 공개됐는데요. 그 자료만도 각종 케이스별 명세서 샘플을 포함해 30페이지가 넘는 양입니다. 바로 포스팅하면 좋았을 텐데 막상 고용노동부 자료 발표 이후 관련된 내용으로 마무리할 일이 생겨서 조금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중요한 정보들 위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바쁘신 분들은 고용노동부 임금명세서 프로그램 및 작성 요령은 포스팅 하단 '7. 고용노동부 임금명세서 작성 프로그램 '문단에서 프로그램과 가이드를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1.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화 왜 하는건가? 임금은 근로관계를 이루는 중요한 내용으로 과거부터 명세서를 교부함이 일반적이지만 이를 배포하지 않고 임금총액만 알려줄 경우 직원.. 2021. 11. 19.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화 관련 고용노동부 설명자료 배포 (가이드 라인) 고용노동부에서 설명자료(가이드라인)가 배포되어 자료를 공유합니다. 관련 설명내용은 저도 우선 내용을 파악이 필요할 것 같아요. 하단의 첨부 파일을 참고하세요. 211116 추가내용 21년11월19일부 임금명세서 교부의무화 관련 내용과 고용노동부의 임금명세서 만들기 프로그램을 포함한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화 시행 안내 (고용노동부 임금명세서 작성 프로그램 안내 포함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화 시행 안내 (고용노동부 임금명세서 작성 프로그램 포함) 안녕하세요? 지난 11월 16일 임금명세서 교부화 관련해서 고용노동부의 개정 근로기준법 설명자료 즉 가이드라인이 공개됐는데요. 그 자료만도 각종 케이스별 명세서 샘플을 포함해 30페이지가 chulystory.tistory.com 안녕하.. 2021. 11. 16.
실업급여 이직사유에 따른 이직코드 (2. 회사사정과 근로자 귀책사유에 의한 이직)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용보험 상실신고 중 이직코드로 알아보는 이직사유, 이직사유로 알아보는 이직 코드 중 두 번째 회사사정과 근로자 귀책사유에 의한 이직입니다. 앞서서 포스팅한 것처럼 실업급여 수급 여부에 중요한 이직확인서에 반영되는 퇴직사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지난 1번 코드 자진퇴사에 이어 2번 코드 유형 회사 사정과 근로자 귀책사유에 의한 이직사유(퇴직사유)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첫 번째 자진 퇴사와 관련한 퇴직사유와 이직 코드는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2021.10.29 - [HR/Human Resources] - 실업급여 이직사유에 따른 이직코드 (1. 자진 퇴사) [고용보험] 실업급여 이직사유에 따른 이직코드 (1. 자진 퇴사)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용보험 상실신고.. 2021. 11. 2.
주52시간이라는데... 사례별로 보는 근로시간의 위반 판단 기준 안녕하세요? 최근 주52시간 근로시간 단축 적용으로 근로시간에 대한 문의도 종종 있는데요. 아마도 9월부터 최근까지 명절연휴에 대체공휴일 등 휴일이 평소보다 많다 보니 그런 듯 싶습니다. (혹시나 주52시간에 대한 궁금한 사항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2021.08.27 - [HR/Human Resources] - 주52시간이란? (워라밸의 시작) 주52시간이란? (워라밸의 시작) 오늘은 잊을만하면 한 번씩 언급되고 있는 주 52시간 근로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최근에도 '주52시간 근로시간 단축'을 실패한 정책이라고 언급되는 뉴스도 있었는데... 주 52시간을 잘 모 chulystory.tistory.com 그래서 오늘은 직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시간이 주52시간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 2021. 10. 14.
평균임금이란...? (평균임금 계산 및 사용 방법, 관련법령 첨부) 안녕하세요? 오늘은 그간 살짝살짝 언급되었던, '평균임금에'대해서 포스팅을 합니다. 평균임금도 실제 직장생활을 하게 되면 한번 이상은 듣게 되는 용어인데요. 그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해볼까 합니다. 1. 평균임금이란? - 평균임금은 말 그대로 '자신이 받고 있는 임금의 평균입니다.' 단 근로기준법에 그 평균을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 정의가 되어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2조(정의) ①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6. “평균임금”이란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한다. 근로자가 취업한 후 3개월 미만인 경우도 이에 준한다. 따라서 평균임금이란 특정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2021. 10. 5.
유연근무제란? (탄력적 근로시간제, 선택적 근로시간제, 간주근로/재량근로시간제 개념 및 법적근거) 안녕하세요? 오랫만에 HR관련 포스팅을 합니다. 오늘은 코로나19나 주52시간 도입 이후 회사나 직원들도 탄력적 근로시간제, 선택적 근로시간제 등을 아마도 들어보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 이런 다양한 근로시간제를 통상 유연근무제 (유연근로시간제)라고 부르는데 오늘은 이런 유연근무제에 대해 알아 보려고 합니다. 1. 유연근무제란? - 유연근무제란 근로시간의 결정이나 배치 등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업무량의 많고 적음에 따라 근로시간을 적절하게 배분하거나 근로자의 선택에 맡김으로써 근로시간을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근로시간의 산정이 어려운 경우에 있어서도 별도로 정한 근로시간을 근로시간으로 인정 하는 제도들입니다. 일반적인 9 to 6가 아닌 말 그대로 유연한 근무제도 입니.. 2021. 9. 24.
주휴수당이란... (주휴일의 의미 및 발생요건) 안녕하세요? 직장 다니시는 분들이라면 한 번은 들어봤을 주휴수당에 대해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주휴수당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소정근로일에 정상근로하게 되면 1일의 유급휴일을 부여하는데, 이를 근무하지 않고 유급 처리 되기 때문에 주휴수당이라고 부르게 된 듯 싶습니다. 오늘은 이 주휴수당이 어떤 내용인지 천천히 알아보도록 하죠. 1. 주휴수당의 법적근거 근로기준법 제55조(휴일) ①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시행규칙 제30조(휴일) ① 법 제55조제1항에 따른 유급휴일은 1주 동안의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자에게 주어야 한다 - 자료 : 법제처 - 또 언급되는 근로기준법입니다. (익숙해지면 좋습니다.) 법 내용을 종합해보면 "1주 동안 소정근로일을 개.. 2021. 9. 7.
연장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산정 (OT, 심야, 휴일수당) 1. 연장 휴일 야간근로수당의 근거 오늘은 연장근로, 휴일근로, 심야 근로 시 추가 할증되는 수당에 대해서 알아보는 포스팅입니다. 직장인들이라면 궁금해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우선은 제일 중요한 법적인 근거는 역시나 '근로기준법'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연장근로, 야간(심야)근로, 휴일근로에 대한 조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근로기준법 제56조(연장ㆍ야간 및 휴일 근로) ① 사용자는 연장근로(제53조ㆍ제59조 및 제69조 단서에 따라 연장된 시간의 근로를 말한다)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휴일근로에 대하여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 금액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1. 8시간 이내의 휴일근로: 통상임.. 2021. 8. 9.
최저임금 제도 그리고 최저임금 판단 기준 최근 2022년도 최저임금은 올해 8,720원 보다 약 5% 오르게 되어 9,160원으로 최저임금위원회 의결되었다고 최저임금에 관한 소식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최저임금 제도란 무엇인지 포스팅해볼까 합니다. 사실 최저임금도 좀 많이 꼬인 게 상여의 통상임금 이슈로 규모가 있는 회사들은 임금 수준이 상당히 올랐는데, 과거부터 이야기가 많았던 최저임금 10,000원 달성을 위해 최저임금 인상률이 높다 보니 대기업의 연봉 수준이 상당한 직원들이 최저임금 미달된다는 웃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해당 원인은 결국은 통상임금으로 인정되는 정기상여금이 최저임금에는 산입 되지 않는다는 점이었는데... (그 넘의 통상임금, 그 넘의 상여금) 고용노동부, 최저임금위원회, 국회가 서로 대응을 모색할 거라고 생각했는.. 2021. 7.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