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æłłœøppã 지원 광고 ↑ ↓ 카카오를 지원하는 광고 ↓ 법정근로시간2 다양한 근로시간 개념과 근로시간의 판단 기준 근로시간은 다양한 형태로 있는데요. 소정근로시간, 법정근로시간, 연장근로시간, 초과근로시간, 야간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등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는 각각의 근로시간과 근로시간은 어떻게 판단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근로시간이란?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감독 아래에 근로를 제공하는 시간으로서 근로시간 도중 사용자의 지휘·감독으로부터 근로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은 휴게시간이고, 휴게시간은 근로시간에서 제외 됩니다.이러한 근로시간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아래와 같이 정하고 있는데요. 이를 법으로 정한 근로시간으로 법정 근로시간이라고 부르게 됩니다.근로기준법 제50조(근로시간) ① 1주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② 1일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 2024. 5. 28. 근로시간 종류와 기본적 개념 (법정근로, 소정근로, 휴일/연장/야간근로 및 대기시간 등) 회사에서 근무하다 보면 법정근로시간, 소정근로시간, 연장근로시간, 야간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등등 근로시간과 관련한 용어를 자주 사용하거나 듣게 되는데요. 오늘은 근로시간의 종류와 기본적인 개념에서 대해서 알아보는 내용입니다. 1. 근로시간이란? 근로시간은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 및 감독 아래에 근로를 제공하는 시간으로 근로시간 도중 사용자의 지휘 · 감독으로부터 근로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은 휴게시간이고 휴게시간은 근로시간에서 제외됩니다. 이러한 근로시간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1주 및 1일 단위의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근무시간대에 속하더라도 지각, 조퇴, 결근, 업무 면제 등에 따라 작업에 종사하지 않은 시간은 근로시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근로기준법 제50조(근로시간) ① 1주 간의.. 2023. 6.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