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æłłœøppã 지원 광고 ↑
↓ 카카오를 지원하는 광고 ↓
민법의 정의 및 구성 (기본적 개념 요약)
개인적으로 공부하고 있는 민법에 대해 기록하고자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민법은 살면서 흔하게 들어왔는데, 민법에는 어떤 내용이 담겨있는지 개략적으로 이해했으면 좋겠습니다. 1. 민법의 개념 우리나라의 민법은 민법총칙, 물권법, 채권법, 친족법, 상속법으로 구분됩니다. 또한 민법 제1조에 따라 민사에 관하여 법률에 규정이 없으면 관습법에 의하고 관습법이 없으면 조리를 따르게 됩니다. 민법총칙 (제1조 ~ 제184조) : 권리의 주체 및 객체, 법률행위, 대리, 기간, 소멸시효 등에 대한 내용으로 법에 대한 기초단계입니다. 물권법 (제185조 ~ 제372조) : 물권의 종류, 효력 및 변동, 등기제도 등의 사람이 물건을 지배하는 권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채권법 (제373조 ~ 제766조) : 채무불이행,..
2023. 7. 10.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새 글 쓰기 |
W
W
|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